Working Papers

고령화와 소득 및 소비의 불평등

고령화와 소득 및 소비의 불평등

김낙년 (동국대 명예교수)

초록

  이 글은 1990-2022년의 가계동향조사를 이용하여 한국의 소득과 소비 불평등에 미친 연령, 출생 코호트, 조사연도의 각 효과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에 따르면 연령이 높아지면 불평등이 커졌고, 특히 소득의 경우 고령이 되면 이 연령 효과가 더욱 커지는 것으로 나왔다. 연금제도가 성숙한 선진국과 달리 한국은 은퇴 후 연금이 없거나 미미한 자들이 많아 불평등이 오히려 커졌기 때문이다. 출생 코호트가 소비 불평등에 미친 효과는 U자형을 보여 1970년대 출생한 코호트까지는 불평등이 낮아지는 추세를 보였지만, 그후에는 역전된 것으로 나왔다. 고도성장기를 통해 부를 축적한 부모 세대가 자녀에게 증여를 늘리면서 자녀 세대의 불평등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이들 시간 관련 세 변수를 통제하였을 때의 주요 거시경제 변수의 불평등 효과를 추정하였다. 소득의 경우 실업률은 불평등을 높였고, 고용증가율은 낮춘 것으로 나왔다. 대외 개방의 효과로는 무역이 불평등을 높였지만, 직접투자는 유입과 유출의 효과가 반대로 나왔다. 금융의 발달과 소득재분배와 관련 변수들은 모두 불평등을 낮춘 것으로 나왔다. 이들 효과는 모두 연령에 의존하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더욱 커지는 것으로 나왔다.

주제어: 연령, 코호트, 소득불평등, 소비불평등

경제학문헌목록 주제분류: D3


Aging and Inequality of Income and Consumption in Korea

Abstract 

  This article estimates the effects of age, birth cohort, and survey year on income and consumption inequality in Korea using the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from 1990 to 2022. According to the results, inequality increased with age, an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income, this age effect became larger as people became older. This is because, unlike developed countries with mature pension systems, inequality in Korea has actually increased due to the large number of people who have no or minimal pension after retirement. The effect of birth cohort on consumption inequality was U-shaped, showing a downward trend in inequality until the birth cohort in the 1970s, but then reversing. It was found that inequality among the children's generation increased as the parents' generation, which accumulated wealth through a period of rapid growth, increased gifts to their children. Furthermore, I estimated the inequality effects of major macroeconomic variables when controlling for these three time-related variables. In the case of income, the unemployment rate increased inequality and the employment growth rate decreased. The effect of opening to the outside world was that trade increased inequality, but direct investment had the opposite effect of inflow and outflow. Variables related to financial development and income redistribution were all found to have lowered inequality. These effects all depend on age and appear to increase with age.

Key Words: age, cohort, income inequality, consumption inequality

JEL Classification: D3